- 리서치 알아가기_표집
-
표집
1) 표집의 원칙
연구자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적절한 연구설계방안을 선정한 후에 조사대상에 포함할 사례를 결정한다. 현실적으로 연구대상의 범주에 속하는 사람이나 사례를 고르고, 비교적 관리하기 쉬운 것만은 대상으로 연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표본조사, 실험법, 현지연구법, 문헌연구법 등에 적용된다.
(1) 모집단과 표본
모집단(population, 전집)이란 연구의 대상이 되는 집단으로서, 연구자가 직접적인 방법이나 통계쩍 추정을 통해 정보를 얻으려 하는 대상집단이다. 센서트(census)는 이러한 모집단 전체를 조사대상으로 하는 방식을 말한다. 표본(sample)이란 모집단을 대표하도록 선정된 모집단의 부분집합으로서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을 가져야 한다.
(2) 표집의 기본개념
먼저 연구자는 모집단을 이루는 개별요소를 추출하기 위한 표집단위를 정한다. 표집단위는 요소들의 집합으로, 연구의 방향 및 주안점을 고려하여 정해야 한다. 그런 다음 관찰단위와 분석단위를 정한다. 관찰단위는 자료 수집의 단위로서 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개별 요소 또는 요소들의 집합이며, 분석단위는 자료를 분석하는 단위이다. 일반적으로 관찰단위와 분석단위는 일치한다.
그 다음으로 연구대상이나 표본단위가 수록된 목록인 표집틀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한다. 표본을 추출하는 표집틀이 모집단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추출된 표본은 모집단의 대표성을 상실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오차를 표집틀 오차라고 한다.
통계치(statistics)와 모수치(parameters)는 통계적 연구를 일반화할 때 가장 중심이 되는 개념으로, 전자는 표본의 속성을 수치로 나타낸 것이고, 후자는 모집단의 속성을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2) 표집의 종류
성공적인 표본이란 모집단의 속성을 그대로 반영하는 표본이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대상이 되는 모집단의 요소들이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이 동등해야 한다.
(1) 확률적 표집방법
확률적 표집이란 무선의 원칙(principle of randomness)에 의거해서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을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 무선의 원칙이 지켜지기 해서 우선 모집단을 구성하는 모든 사례의 추출될 기회가 균등해야 하며, 한 사례가 뽑힐 때 그것이 다른 사례의 표집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표집 도중에는 모집단에 아무런 변동이 없어야 한다.
단순무선표집(simple random sampling)은 확률적 표집방법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유형이다. 단순무선표집의 절차로 첫째, 표집틀에 수록된 각 전집요소에 일련번호를 부여한다(1부터 시작). 둘째, 연구방법이나 모집단의 동질성 등을 고려하여 표본의 크기를 정한다. 셋째, 난수표 목록을 준비한 후 상하 또는 좌우로 숫자를 선택하는 진행방법을 결정한다. 넷째, 준비된 난수표에서 첫번째 숫자를 무작위로 정한 후 이후 추출될 숫자를 체계적으로 선택하여 표본을 추출한다.
체계적 무선표집(systematic random sampling)은 최초의 표본단위만 무선적으로 선택하고 나머지는 일정한 표집간격을 두고 추출하는 방법이다. 표집틀 전체 수에서 표본요소의 비율을 표집률(sampling ratio)이라 하고, 전체 수를 표본요소로 나누어 얻어진 요소간의 간격 10을 표집급간(sampling interval)이라 한다.
유층표집(stratified sampling)은 표본과 모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함으로써 가능한 표집오차를 줄이면서 대표성을 강화시키는 방식이다. 모집단에 대한 지식을 이용하여 동질적인 하부 집단별로 나눈 다음, 각 집단으로부터 무작위 표집을 한다.
비비례 표집방법(dis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은 크기가 작은 하부집단의 속성으 ㄹ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유층별로 같은 수의 표본을 추출한 후 모집단에서의 구성비율에 따라 각 유층표본의 상대적 크기를 계산하다.
군집표집(cluster sampling)이란 모집단의 구성요소들이 군집화되어 있는 경우, 군집을 표본단위로 하여 무작위 추출을 하고 추출된 군집 내에 대상을 표본으로 추출하는 방법이다. 군집표집은 표본단위가 군집이므로 군집을 잘 규정하면 비용이 절감될 뿐 아니라 군집의 특성을 평가하고 이를 모집단의 특성과 비교할 수 있으나 속성상 군집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할 수 있고, 표집오차의 발생을 배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다단계 군집표집(multi-stage cluster sampling)은 군집표집을 한 번만 하고 곧 개별요소를 추출하는 대신, 몇 단계로 군집을 무작위 표집한 다음, 그 안에서 마지막 표집단위로 개별요소를 무작위로 추출하는 방식으로서 전국 규모의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2) 비확률적 표집방법
비확률적 표집방법은 비무선적으로 표본을 추출하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없지만 확률 표집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 불가피한 경우나 연구 특성상 특정한 대상을 표본으로 해야 할 경우에는 비확률적 표집방법을 사용한다.
가용표집(available sampling)은 조사에 쉽게 동원할 수 있는 표본을 대상으로 하며 설문지를 사전에 검사하거나 예비조사를 할 때 유용하다.
자원자표집(volunteer sampling)은 자원해서 조사에 응하는 사람들을 표본으로 삼는 방식으로 자진해서 응하는 사람들만을 표본으로 삼기에 과학적 표집방법이라 할 수 없다.
의도적표집(purposive sampling)은 연구자가 연구목적이나 주관적 판단에 의해 표본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모집단 전체를 대표하도록 표본을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모집단의 특정 부분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선정하는 것이다.
할당표집(quota samling)은 사전에 이미 결정되어 있는 백분율과 일치하도록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표집은 대표성 있는 표본을 추출하기 위해 고안된 비확률적 표집방법으로서 연구대상 전집을 관련한 하부유목들로 나눈 할당 매트릭스라 불리는 표집틀을 사용한다. 일견 확률적 표집방법처럼 여겨지나 표본추출이 무작위가 아니므로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진다.
우연적표집(accidental sampling)은 쇼핑센터 안으로 들어가는 사람들 가운데 열 번째마다 한 명씩 면접하는 식의 표집으로서,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되고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판단표집(judgement sampling)은 조사자가 모집단에 대한 지식이 많을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조사대상이 되는 모집단의 경계를 한정할 수 없을 때에도 가능하며 적은 비용으로 실시할 수 있어 주로 예비조사에서 이용되고 있다.
눈덩이표집(snowball sampling)은 연구자가 판단하기에 연구대상이 되는 특정 집단에 관하여 가장 정확하고 많은 정보를 알고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을 표본으로 삼아 제보자의 목록을 만들어 가면서, 그들로부터 또 다른 후보 제보자들의 명단을 얻어내는 방식으로, 표본을 늘려나가는 방법이다. 불법체류자들, 범죄자 등의 표본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참고 : 사회조사방법론 제 3판 SPSS WIN 통계분석
리서치 알아가기
- 이전글
- 이전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