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알아가기_마케팅조사 실무분류기준
마케팅조사 유형별로 살펴보기
안녕하세요, (주)서던포스트입니다. 지난 시간 마케팅조사에 대해 '조사'란 무엇이고, 그 역할과 한계점을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마케팅조사의 일반적인 분류기준과 실무에서의 분류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마케팅조사 유형별로 살펴보기
실제 마케팅 실무에서는 마케팅조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봅시다. 크게 신제품/서비스 개별단계별과 조사결과의 활용목적별로 나뉠 수 있습니다.



구분

신제품/서비스 개별단계별

조사결과의 활용목적별

특징

제품/서비스 수명주기에 따른 조사체계 구성

조사목적 및 기업의 조직구조에 따른 구성

적용산업

수명주기가 짧고 신상품 개발이 빈번하거나 경쟁이 치열, 시장변화가 매우 빠른 산업이나 업종

수명주기가 길고, 시장변화가 상대적으로 느리거나 적은 산업이나 업종

주요 조사유형

Idea Generation


Concept Development/Test


Product Test


Advertising Test


Test Market

Usage & Attitude 조사


브랜드/이미지/광고 조사


고객관계관리 조사


신제품/서비스 관련 조사


기타조사

 참고 : 마케팅조사 실무노트I

(1) 신제품/서비스 개별단계별
신제품/서비스 개별단계별에서 각각의 조사유형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 먼저 Idea Generation은 신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단계로, 주로 이용실태조사나 소매점 지표와 같은 정량조사, FGD(정성조사)를 가장 널리 활용합니다.

나. Concept Development/Test는 신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보다 구체화하여 컨셉을 만들거나, 그것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파악하여 컨셉을 선정하고 수정, 보완하는 데 쓰이는 기초조사를 말합니다. 이는 다시 컨셉 개발을 위한 조사와 컨셉 평가를 위한 조사로 구분됩니다.

다. Product Test는 완성된 컨셉을 바탕으로 시제품을 만들어 잠재 소비자에게 제품 출시전 사전 평가 및 수정을 위해 사용되는 조사입니다. 조사결과의 대표성 확보와 개선을 위해 100~200명 내외의 Gang Survey나 CLT 혹은 Home Use Test를 널리 활용합니다.

라. Advertising Test는 신제품/서비스를 출시할 때 사용될 광고물에 대한 사전 평가조사로, 1:1개별면접, Gang Survey, CLT, FGD등 다양하게 활용합니다.

마. Test Market은 신제품 출시 후 수요 파악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 실시되는 조사로, 테스트 마켓을 크게 예비시험시장, 미니시험시장, 시험시장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주로 유통업계에 프로모션 진행 후 최종적으로 점검하는 데 활용합니다.


(2) 조사결과 활용 목적별
조사결과 활용 목적별의 각 조사유형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 Usage & Attitude 조사는 신제품/서비스 개발단계와 마찬가지로 해당 시장에서의 소비자 이용실태, 인식, 태도 등을 파악하여 마케팅 활동에 반영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나. 브랜드/이미지/광고조사는 기업의 브랜드 경쟁력을 파악하기 위해 타겟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조사로, 기업이미지 조사, 개별 브랜드조사, 광고효과 조사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로 브랜드 및 광고업무를 위한 홍보팀 혹은 광고홍보팀에서 담당합니다.

다. 고객관계관리조사는 고객만족도조사, 서비스품질조사, 미스터리쇼핑조사 등이 있으며 제품이나 서비스의 개선활동에 반영됩니다.

라. 신제품/서비스 관련조사는 가전이나 IT, 이동통신 등 신제품/서비스 개발이 빈번한 업종을 비롯해 금융, 유통, 서비스 업중에서 이 유형의 조사를 제한적으로 활용합니다. 아이디어 도출, 컨셉테스트, 제품테스트 등의 조사들이 이루어집니다.




참고자료 : 마케팅조사 실무노트






리서치 알아가기


첨부 파일:
출처: http://southernpost.co.kr